캐나다 유심, esim, 듀얼심
초반에 캐나다 유심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검색해 봤는데, 공짜로 유심을 보내주시는 캐나다 유학원이 있었습니다. 매주 특정 요일에 일괄적으로 배송해 주시기 때문에 미리 받아두면 고생하지 않을 것 같았어요. 그런데 이렇게 유심을 받고서도 저는 esim을 사용했습니다. esim을 사용하면 듀얼 유심이 가능해서 유심을 빼지 않아도 되고, 한국 전화번호를 완전히 정지하지 않아서 계속 문자를 받아야 했기 때문이에요.
esim의 경우 사용할 수 있는 기종이 정해져 있습니다. 하지만 esim을 사용할 수 있다면 무조건 쓰는 것을 추천드려요. 한국에서 연락받을 일이 있을 때마다 유심을 빼고 꽂는 수고를 안 해도 된다는 점만으로도 충분히 편리함을 다한다고 생각합니다.
폰박스 esim 요금제


esim을 사용하는데, 편의성을 생각해서 인지, 가격을 추가로 요구하더라고요. 그래서 결국 esim 개통을 위해 10$ 정도를 추가로 내고 phonebox에서 캐나다 번호를 개통했습니다. 어차피 대형 통신망을 빌려서 사용하는 것이라 다 똑같을 것이라 생각했고, 외국의 통신망에 기대가 크지 않아 괜찮을 것이라 생각했어요. 초반에 블로그 후기가 괜찮아서 결제했는데, 후기에 따르면 5일 정도 전에 번호를 알려준다는데 한 일주일이 지나도 연락이 없어서 카톡으로 문의를 하게 되었습니다. 정책이 바뀌었는지, 아니면 광고였는지 모르겠지만 결국 추가 요금을 내야 했습니다.
phonebox는 캐나다 기준 시간대로 고객센터가 일을 하기 때문에 새벽에 카톡으로 문의를 넣어야 했습니다. 새벽 1시 이후부터 연락을 받기 시작하는데 이것도 한국인에게 익숙한 빠른 대답이 아니고, 몇 시간씩 걸리기 때문에 일요일에 출국하는 사람들은 문의도 적어도 3일 전에는 넣는 것을 추천드려요.


지금은 아닌 것 같지만, 그때는 ArriveCan을 미리 작성해야 캐나다 입국이 가능했습니다. Covid-19가 이제 막 잦아들 때쯤이었기 때문에 격리 의무는 사라졌지만, 연락처는 필수적으로 작성해야 했어요. 그 당시, 공항에서 임의로 정해서 코로나 검사를 하게 했는데, 그걸 모르고 그냥 기숙사로 왔다가 벌금 안 내려고 근처 병원에 급하게 간 친구가 있었습니다. 그 때는 그래서 현지 번호가 입국 전부터 필요했어요!

그렇게 저는 출국 당일 새벽에 결국 답변을 받았고, 번호를 개통 신청한 당일 시각으로 오전 10시에서 1시 사이에 보내준다고 하더라고요. 일할 계산하면 당연히 자정이나 그전에 보내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니었어요. 전화번호가 미리 필요하시면 하루 일찍 개통을 해야 해서 결국 하루치 요금을 더 내야 했습니다. 저는 요금제는 1달 7GB에 35$+tax인 요금제를 사용했고, 이 세금은 주마다 다르게 책정됩니다.
실제로 써보니까 캠퍼스 안에서는 와이파이가 어디서든 되기 때문에 셀룰러를 끄고도 살 수 있습니다. 이 폰박스가 싼 이유는 회사 같은 데서 office용으로 사용하는 전화번호를 나눠주는 방식이라고 하던데 일단 다른 요금제에 비해서는 싼 편이고, 약정이 없다는 장점이 있어요.
캐나다에서는 ROGERS의 네트워크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폰박스 사용 후기
22년 12월 기준으로 석 달 정도 사용 후 귀국했는데, 사실 나중으로 갈수록 데이터가 잘 안 터져서 불편했습니다. 적어도 여행 갔을 때 구글 맵으로 대중교통과 식당 리뷰를 검색할 수는 있어야 하는데, 그조차도 안되어서 결국 친구들에게 의존해 살았어요. 특히 토론토 지역에 갔을 때, 아예 사용이 불가해서 불편한 점이 있었습니다. 사람이 많은 곳에 가도, 데이터 우선순위에서 밀리기 때문에 알뜰통신사는 불리하다고 하던데 그런 경우였을지도 모르겠어요.
마지막 12월에는 미리 플랜을 중단할 날짜를 정해 뒀었는데, 그 이후로 데이터가 잘 되었습니다. 실제로 안되긴 했는데, 이게 플랜 중단을 해서 안 되는 건지 아니면 그냥 안되는 것인지가 정확하지 않았어요. 외국은 워낙 네트워크가 불안정한 곳이 많아서요. 그런데 원래 살던 지역에서도 잘 되지 않았던 것은 사실입니다. 날짜를 정해서 요금제를 중단하면 끊어지는 것은 당일 오후 5시 경이라고 합니다.
다른 통신사에 비해 확실히 싼 것은 사실이니, 잘 비교해 보고 사용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다음 글에서 설명한 내용은 다음과 같아요!
'교환학생으로 살아남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에서 미국으로 저렴하게 송금하기 | 수수료, 환전, 환율, 모인(moin), 유학생 송금, 소요 시간 후기 (0) | 2023.05.25 |
---|---|
미국 교환학생의 eSIM, 민트모바일(mint mobile), 통신사, 요금제 정하기 (0) | 2023.04.26 |
교환학생 한국 KT 전화번호 정지하기 (0) | 2023.04.11 |
에어프레미아 타고 로스앤젤레스 가기 (ICN - LAX) (2) | 2023.04.09 |
MyTrip에서 항공권 예약하고, AirTransat에 연락해서 변경하기 2탄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