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환학생으로 살아남기

미국 교환학생의 eSIM, 민트모바일(mint mobile), 통신사, 요금제 정하기

베트렉 2023. 4. 26. 09:48
반응형

미국 유심, 알뜰 통신사 통신망 확인, Mint mobile, 요금제, eSIM 개통 방법

미국의 통신사

 일단 미국의 통신사에 대해 알아보면, 미국도 대형과 알뜰 통신사로 나뉘어서, 우리나라의 KT, SKT, LG U+처럼 Verizon, AT&T, T-mobile 이렇게 대형 통신사가 있습니다. 대형은 회선이 비교적 안정적인 대신 가격이 비싸고, 알뜰 통신사는 비교적 가격이 싼 대신, 만약 회선을 사용하는 사람이 많으먼 데이터 사용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미국은 한국과는 달리 통신장애가 잦고, 아예 통신이 터지지 않는 곳도 꽤나 많아서 통신사를 고를 때 자신이 거주할 지역의 통신망을 확인해야 합니다. 알뜰 통신사의 경우 종류가 정말 많으니, 따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Mint Mobile, 요금제

 저는 이전에 갔던 분들의 파견 보고서에서 교환교가 원래 보내던 유심칩이 민트모바일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민트모바일을 우선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민트모바일은 T-mobile 회선을 사용하는데,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거주할 지역의 우편번호와 내 핸드폰의 기종을 입력하면 통신망 상태와 기기 사용이 가능한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도로명 주소를 쓰면 더 정확하다고는 하지만, 굳이 그러지 않아도 지도를 보면 내 지역이 통하는지 충분히 확인 가능합니다. 

 

 최근 T mobile과 합병이 이뤄지면서, 가격 대비 데이터 양이 증가한 요금제로 바뀌었습니다. 기존에 선불요금제를 쓰던 사람들도 전부 데이터를 그에 맞춰 증가시켜주어서, 저는 15GB에서 20GB로 데이터 양이 증가했습니다. 사실 15GB도 학교 내부에서는 사용할 일이 없어서, 가격을 낮춰주면 좋았겠지만요. 지도 상으로는 서부 쪽이 동부에 비해 통신이 잘 안 터지는 것처럼 보이지만 LA, 라스베가스, 샌프시스코의 관광지를 돌아다닐 때 불편함을 느낀 적은 없습니다. 물론 제가 있는 밀워키 주변에서도 통신이 전체 다운되지 않으면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https://www.mintmobile.com

 제가 사용하던 요금제는 한달 15GB로, 달에 25$씩 3달치를 선불로 내는 신규회원 가격이었습니다. 특이한 점은 민트모바일에서는 3+3 이벤트를 자주 하는데, 이 때 요금제를 구매하면 3달 가격으로 3달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총 6달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죠! 개통하기 전 까지는 환불도 가능하고, 개통일을 기준으로 6달이기 때문에 미국에 갈 예정이 있으신 분들은 미리 확인해서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month, 15GB plan - Plus 3 months free

eSIM 개통 방법, 주의점

 결제하면 거의 바로, 위의 사진처럼 Activate eSIM 이라는 버튼이 있는 영수증이 메일로 날아옵니다. 개통하고 싶을 때, 이 버튼을 누르시면 앱으로 연결됩니다. Mint Mobile 앱을 미리 깔아두셔야 개통이 수월합니다. 공항 와이파이처럼 공용 와이파이인 경우, 개통이 안 되서 곤란할 수 있습니다. 저는 친구에게 부탁해서 잠시 핫스팟을 켜달라고 한 뒤에 개통을 했는데, 한국에서 미리 개통을 하시고 오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eSIM의 최대 장점인 유심을 두 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잘못하면 로밍 요금 폭탄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요, 설정 - Cellular - Cellular Data로 들어가시게 되면 어떤 회선을 사용할 지 지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Allow Cellular Data Switching은 꺼주시고, 저는 Primary가 한국 폰 번호, America로 설정된 것이 미국 폰 번호여서  미국에서 와서 America를 선택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한국 요금제로는 데이터는 사용하지 않고, 문자는 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됩니다. 저의 경우, 장기 정지 요금제를 추가금액을 내고 문자는 그냥 받을 수 있도록 해두었습니다. 한국 요금제를 어떻게 했는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확인 하시면 될 것 같아요.

 

 

다음 글에서 설명한 내용은 다음과 같아요!

 

반응형